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결혼식 축의금 보통 얼마를 낼까?

by 이슬이의 끄적끄적 2024. 11. 9.
반응형

가을이 되면 결혼식이 많이 열리는 계절인데요.

저도 며칠전에 결혼식을 다녀왔는데요.

청첩장을 받으면 축하하는 마음은 가득하지만 고민할 수 밖에 없는 "축의금"

얼마를 내야할까? 얼마가 적당한거지? 다들 이런 고민을 한번쯤은 해보셨을껍니다.

딱 정의를 내리는건 아니지만 평균적으로 다른분들은 얼마를 내시는지 제가 알려드릴게요.

 

 

 

 

 

다들 포털사이트에 의하면

▷ 거의 매일 연락하고 친한친구는 20만원 선

▷ 사적으로 소통만 하는 동료는 10만원 선

▷ 가끔 연락을 하고 그냥 알고 지내는 사이에선 5만원 선 이 적당하다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현재 물가가 상승하면서 축의금 금액도 오르고 있다고 합니다.

위 금액에서 +2~3 정도 더 보낸다고 합니다.

( 개개인마다 다르게 생각 할 수 있습니다. )

 

 

물가가 높아지면서 1인 식대를 고려해 결정하게되죠, 

5만원 선이 적당하지면 밥값이 비싼 호텔에 경우엔 다르죠

( 5만원에서 +1~2만원 정도 더 내시는 경향도 있다고 합니다. )

 

 

 

 

◎ 반대로 결혼식을 참석 하지 않으면 덜 내도 되는거 아닌가?

그건 본인 선택에 따라 다르시겠죠,,,

 

 

축의금 꼭 현금으로 줘야 할까?

코로나시대가 계속 되면서 당시 참석하지 못해 축하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모바일송금으로 축의금을 보내기도 했는데요.코로나가 풀린 현재까지 모바일로 축의금을 보내기도 한다고 합니다.

 

 

참석하지 않은 결혼식 / 연령대 별 축의금

▷ 10대 - 2만원

20대 -  6만원

30~40대 - 10만원 후반

50~60대 - 12만원

 

 

 

꼭 위 내용처럼 내야 된다는건 아닙니다.

참고하면 좋을꺼 같다는 생각으로 적었습니다.

결혼 하시는 모든 여러분들 모두모두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행복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