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 음식을 먹으면 왜 배탈이 날까?
찬 음식을 먹으면 왜 배탈이 날까?
그 원인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바쁜 일상속에서 아이스아메리카노를 즐겨 마시는 분들도 계시고
시원한걸 마시면 속까지 시원해져 시원한거만 찾아 드시는 분들이 계실껍니다.
찬 성질의 음식을 먹으면 왜 배탈이 날까? 한번은 생각해보셨을껍니다.
그 원인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배탈을 자주 겪는 분이시라면 꼭 꼭 숙지하세요.
찬 성질의 음식이란 시원한 음식만 속하는게 아니라 우리몸을 차갑게 만들거나 식히는 음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 몸의 소화효소는 35~40도에서 가장 원활하게 작용한다고 합니다.
찬 음식을 먹게되면 낮아진 온도로 인해 소화되지 않아
그 음식이 장에서 장시간 머무르면서 방귀 및 복부팽만,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 찬 성질의 음식 예시 ◈
1. 수분이 많은 과일
※ 수박, 참외, 멜론 ( 여름과일들 ) ▷ 높은 수분 함량과 차갑게 만들어주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수분이 많은 생 채소
※ 오이, 상추, 배추 등등
3. 차가운 음료와 아이스크림
※ 아이스커피, 차가운 주스 ▷ 몸의 체온을 낮춰주는데 도움이 되지만 소화기관을 차갑게 만들어 소화 속도를 느립게 만듭니다.
4. 해조류
※ 미역, 다시마 ▷ 위 음식들이 몸을 차갑게 만드는가 주 대표 음식들 대표입니다.
▷ 이 음식들은 갈증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너무 과도한 섭취는 배탈 및 설사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5. 녹차, 보리차
▷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몸을 해독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 찬 성질의 음식 원인 ◈
1. 위 음식을 섭취 해 소화기관의 온도를 저하시켜 소화기관이 둔화되어 위장 벽이 수축해 소화 효소의 분비가 줄어들게 되면서 소화가 되지 못한 채 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설사를 유발한다고 합니다.
2. 우리 몸 장속의 유익균은 일정한 온도에 활발히 활동하는 반면에 찬 음식이 장내 온도를 낮추게 되면서 가스가 차게되고 장내 세균 활동이 저하되어 복통을 유발합니다.
3. 위산 분비 감소 됩니다. 위산이 감소 하면서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있으신 분은 증상을 더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4. 혈액순환 저하 - 소화 활동이 느려지고 소화가 제대로 되지 않아 복부 팽만감이나 배변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차가운 음식은 자제하면서 드시길 바랍니다.
배탈이나 설사를 겪는분 이라면 더더더 섭취하실때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차가운 음식보단 따뜻한 음식을 먹으며 겨울철 몸도 마음도 따뜻하게 해보시는건 어떨까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